BST 썸네일형 리스트형 [Data Structure] 이진 탐색 트리 | BST | Binary Search Tree | 시간복잡도 | 전위/중위/후위 순회 이진 탐색 트리 BST(Binary Search Tree) Data Structure 네 번째 스터디 : BST (Binary Search Tree) 이진 탐색 트리의 목적 이진 탐색 연결 리스트 탐색 O(logN) 탐색 O(N) 삽입, 삭제 불가능 삽입, 삭제 O(1) → 위 두 가지를 합하여 장점을 모두 얻도록 고안된 것 → 효율적인 탐색 능력 + 자료의 삽입/삭제도 가능하도록 함 → 주요 연산: 노드 검색, 노드 삽입/삭제, 트리 생성/삭제 이진 탐색 트리의 특징 및 규칙 중복된 노드가 없이 노드에 저장된 키는 유일하다 중복이 많을 경우에는 검색을 목적으로 하는 이 자료구조에 적합하지 않음 중복이 생기는 경우에는 트리에 삽입 X → 노드에 카운팅하는것이 더 효율적 부모 노드의 키가 왼쪽 서브트리를 .. 더보기 이전 1 다음